통계청에선 전국의 동사무소 및 시 구청등에서 접수된 사망신고서를 기준으로 사망원인통계를 냅니다.
2015년 사망원인통계는 2015년에 발생한 사망 사건에 대하여 당해년도 1월부터 익년 4월까지
16개월간 신고된 자료를 집계한 결과입니다. 자료 집계 기간이 있어서 올해 2015년 통계를 접하게 됩니다.
통계자료의 양이 방대하여 제가 관심있게 본 내용 위주로 요약해서 올려봅니다.
사실 수치를 들여다보면 지금 한국의 삶이 보입니다. 자살과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제일 높습니다.
2015년 사망원인통계
2015년 사망원인통계 요약
총 사망자 수는 275,895명, 사망원인통계 작성(1983년) 이래 최대
○ 총 사망자 수는 275,895명으로 전년 대비 8,203명(3.1%) 증가함.
- 사망원인통계 작성(1983년) 이래 최대치이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 조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은 541.5명으로 전년 대비 14.1명(2.7%) 증가함.
- 2006년(495.6명)을 저점으로 증가추세, 1992년(539.8명) 이래 최대치임.
○ 80세 이상의 사망자가 전체 사망에서 40.8%를 차지, 전년 대비 2%p 증가함.
전년 대비 폐렴 사망률은 증가, 고의적 자해(자살) 사망률은 감소
○ 10대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폐렴, 고의적 자해(자살), 당뇨병, 만성 하기도 질환,
간 질환, 운수 사고, 고혈압성 질환 순임.
- 전년 대비 폐렴의 순위는 한단계 상승한 4위, 고의적 자해(자살)는 한단계 순위 하락하여 5위를 기록
- 전년 대비 폐렴 사망률은 22%, 심장 질환은 6.1%, 만성 하기도 질환은 4.7% 증가
○ 10대부터 30대까지 사망원인 1위는 자살, 40세 이후는 암이 사망원인 1위임.
○ 전체 사망자의 27.9%는 암으로 사망, 암 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은 150.8명으로 전년과 유사함.
○ 사망의 외인에 의한 사망률은 56.5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10.4%를 차지함.
○ 자살률은 26.5명으로 전년 대비 0.7명(-2.7%) 감소, 운수사고 사망률은 10.9명으로 전년 대비 0.4명(-3.2%) 감소함.
○ 알코올성 간질환 등의 알코올 관련 사망률은 9.3명으로 전년 대비 5.4% 증가함.
○ 생후 1년 이내 사망한 영아사망률(출생아 천 명당)은 2.7명으로 2000년 이후 최저로 전년 대비 0.3명(-9.4%) 감소함.
연령표준화 사망률(표준인구 10만 명당)은 서울(306.6명), 경기(328.7명)가 가장 낮아
○ 지역 간 연령 구조 차이를 표준화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347.6명으로 전년 대비 8.1명 감소함.
○ 시도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서울(306.6명)이 낮고, 울산(383.9명)이 높음.
○ 연령표준화 암 사망률은 울산(108.8명), 심장 질환은 경남(47.9명), 뇌혈관 질환은 울산(36.8명), 폐렴은 충북(24.9명),
운수사고는 전남(16.9명), 고의적 자해(자살)는 강원(28.7명)에서 높음.
< 사망자 수 및 조사망률 추이 / 연령병 사망자 수 구성비 추이 >
< 10대 사망원인 순위 및 사망률 / 5대 사망원인 사망률 추이 >
< 자살자 수 및 자살률 추이 / OECD국가 자살률 비교 / 영아 사망자 수 및 추이 / OECD영어사망률비교 >
< 시도별 조사망률 및 연령표준화 사망률 / 시도 사망원인 대분류별 연령표준화 사망률 >
2015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1. 사망자 수, 조(粗)사망률
사망자 수는 275,895명으로 전년 대비 8,203명(3.1%) 증가
○ 사망자 수는 275,895명으로 전년 대비 8,203명(3.1%) 증가, 2006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임.
- 남자 사망자 수 150,449명, 전년 대비 3,128명(2.1%) 증가함.
- 여자 사망자 수 125,446명, 전년 대비 5,075명(4.2%) 증가함.
- 1일 평균 사망자 수는 756명으로 전년보다 23명 증가함.
○ 조사망률(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은 541.5명, 전년 대비 14.1명(2.7%) 증가함.
- 남자 사망률 591.0명, 전년 대비 10.4명(1.8%) 증가함.
- 여자 사망률 492.1명, 전년 대비 18.0명(3.8%) 증가함.
○ 2015년 사망자 수는 사망원인통계 작성(1983년) 이래 최대, 사망률은 1992년 이래 가장 높았음.
[표 1] 사망자 수 및 조(粗)사망률 추이, 1983년-2015년
2. 성․연령별 사망
80세 이상의 사망자가 전체 사망에서 40.8%, 전년 대비 2%p 증가
○ 연령별 사망자는 전년 대비 80세 이상(8.6%)과 60대(3.4%)에서 주로 증가함.
- 80세 이상의 사망자가 전체 사망에서 40.8%를 차지함.
- 남자 사망자 중 80세 이상은 27.8%로 10년 전에 비해 9.1%p 증가함.
- 여자 사망자 중 80세 이상은 56.5%로 10년 전에 비해 13.6%p 증가함.
○ 사망자 수 성비는 50대가 2.9배로 최대임.
[표 2] 성․연령별 사망자 수 추이, 2005년-2015년
사망률 성비는 전 연령층에서 남자가 높으며, 50대가 2.9배로 가장 높아
○ 연령별 사망률은 1-9세와 20대를 제외한 대부분 연령층에서 감소함.
○ 남자의 연령별 사망률은 전년 대비 10대(-13.9%)와 30대(-9.8%)에서,여자의 연령별 사망률은 10대(-16.2%)와
1-9세(-11.7%)에서 주로 감소함.
○ 사망률 성비는 전 연령층에서 남자가 높으며, 50대가 2.9배로 가장 높음.
- 사망률 성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커지다가 50대 정점 이후 감소함.
3. 사망원인 순위
10대 사인 중 폐렴은 4위로 순위 상승, 고의적 자해는 5위로 순위 하락
○ 10대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폐렴, 고의적 자해(자살), 당뇨병, 만성 하기도 질환,
간 질환, 운수 사고, 고혈압성 질환 순임.
- 10대 사인은 전체 사망원인의 70.1%를 차지함.
- 3대 사인(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은 전체 사인의 47.0%로 전년보다 0.7%p 감소함.
○ 전년 대비 폐렴의 순위는 한단계 상승한 4위, 고의적 자해(자살)는 한단계 순위 하락하여 5위를 기록함.
- 폐렴은 2004년 10위에서 꾸준히 순위가 상승, 2015년 4위를 기록함.
- 고의적 자해(자살)는 2007년부터 4위를 기록해온 이후 2015년 5위로 하락함.
○ 10년 전에 비해 사망원인 순위가 상승한 사인은 심장 질환(3위→2위), 폐렴(10위→4위), 만성 하기도 질환(8위→7위)이고,
하락한 사인은 뇌혈관 질환(2위→3위), 고의적 자해(4위→5위), 당뇨병(5위→6위), 간 질환(6위→8위), 운수 사고(7위→9위), 고혈압성 질환(9위→10위)임.
남자의 사망원인 순위는 전년과 동일, 여자는 알츠하이머병과 패혈증 순위 상승
○ 남자의 10대 사인은 악성신생물(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폐렴, 당뇨병, 간 질환, 만성 하기도 질환, 운수사고, 추락 순임.
○ 여자의 10대 사인은 악성신생물(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폐렴, 당뇨병, 고의적 자해(자살), 알츠하이머병, 고혈압성 질환, 만성 하기도 질환, 패혈증 순임.
○ 남녀 모두 악성신생물(암)의 순위가 가장 높았고, 남자의 악성신생물 사망률이 여자보다 1.6배 높았음.
○ 남자가 여자보다 순위가 높은 사인은 고의적 자해, 간 질환, 만성 하기도 질환, 운수사고, 추락 순임.
○ 여자가 남자보다 순위가 높은 사인은 폐렴,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고혈압성 질환, 패혈증 순임.
○ 남자는 전년 대비 사망원인 순위가 동일하고, 여자는 알츠하이머병(8위→7위), 패혈증(12위→10위)의 순위가 상승함.
○ 여자의 알츠하이머병은 2011년 9위, 2013년 8위에서 2015년 7위로 상승함.
성별 사망원인 순위, 2015년
10대부터 30대까지 사망원인 1위는 자살, 40세 이후는 암이 사망원인 1위
○ 악성신생물(암)은 1-9세 및 40세 이상에서 1위이고, 30대에서 2위이며, 10대, 20대에서 3위임.
○ 고의적 자해(자살)는 10대, 20대, 30대에서 1위이고, 40대, 50대에서 2위임.
○ 연령별 3대 사망원인 순위는 다음과 같음.
- 0세: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특정 병태(신생아 호흡곤란 등), 선천기형․변형 및 염색체 이상, 영아 급사 증후군
- 1-9세: 암, 운수사고, 선천기형․변형 및 염색체 이상
- 10대: 자살, 운수사고, 암
- 20대: 자살, 운수사고, 암
- 30대: 자살, 암, 운수사고
- 40대: 암, 자살, 간 질환
- 50대: 암, 자살, 심장 질환
- 60대: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 70대: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 80세 이상: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4. 주요 사망원인별 사망률 추이
가. 사망원인별 사망률
폐렴․심장 질환 사망률 증가, 호흡기 결핵․위암․운수사고 사망률 감소
○ 전년 대비 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이 증가한 사망원인은 폐렴(5.2명, 22.0%), 심장 질환(3.2명, 6.1%), 만성 하기도 질환(0.7명, 4.7%) 등,
- 사망률이 감소한 사망원인은 호흡기 결핵(-0.2명, -5.8%), 위암(-0.8명, -4.7%), 운수 사고(-0.4명, -3.2%) 등임.
○ 10년 전에 비해 사망률이 크게 증가한 사망원인은 폐렴(20.4명, 240.4%), 심장 질환(16.3명, 41.6%), 폐암(5.9명, 21.1%) 등,
- 사망률이 감소한 사망원인은 운수사고(-5.4명, -33.3%), 호흡기 결핵(-1.6명, -28.6%), 위암(-5.7명, -25.5%), 뇌혈관 질환(-16.1명, -25.1%) 등임.
나. 악성신생물(암) 사망률
악성신생물(암) 사망률은 폐암, 간암, 위암 순으로 높아
○ 악성신생물(암)에 의한 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은 150.8명으로 전년 대비 0.1명(-0.1%) 감소
○ 암 사망률은 폐암(34.1명), 간암(22.2명), 위암(16.7명), 대장암(16.4명), 췌장암(10.7명) 순으로 높음.
- 전년 대비 폐암(-0.6%), 간암(-2.6%), 위암(-4.7%), 대장암(-0.6%) 사망률은 모두 감소했으며 췌장암(5.9%) 사망률은 증가함.
○ 남자의 암 사망률(187.3명)은 여자(114.4명)보다 1.6배 높음.
- 남자는 폐암(49.8명), 간암(32.9명), 위암(21.6명) 순으로 사망률 높음.
- 여자는 폐암(18.5명), 대장암(14.3명), 위암(11.8명) 순으로 사망률 높음.
- 남녀 간 차이는 식도암(10.8배)이 가장 높고, 간암(2.9배), 폐암(2.7배) 순임.
○ 전년 대비 남자의 암 사망률은 1.4명(-0.7%) 감소, 여자는 1.2명(1.1%) 증가함.
○ 10년 전에 비해 폐암, 대장암, 췌장암 사망률은 증가, 위암 사망률은 감소함.
30대는 위암, 40~50대는 간암, 60세 이상은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아
○ 연령별 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이 높은 암은 다음과 같음.
○ 연령별 악성신생물 사망률은 전년 대비 20대, 3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감소함.
다. 순환계통 질환 사망률
순환계통 질환 사망률은 116.9명, 여자가 남자보다 사망률 높아
○ 순환계통 질환 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은 116.9명으로, 심장 질환(55.6명), 뇌혈관 질환 사망률(48.0명), 고혈압성 질환(9.9명) 순임.
- 심장 질환 중에는 허혈성 심장 질환(28.9명)이 높음.
- 전년 대비 뇌혈관 질환(-0.5%), 고혈압성 질환(-0.6%) 사망률은 감소하였고, 심장 질환(6.1%) 사망률은 증가함.
○ 순환계통 질환 사망률은 여자(123.0명)가 남자(110.8명)보다 높음.
- 고혈압성 질환은 여자 사망률(13.9명)이 남자(5.9명)보다 높고,
- 허혈성 심장 질환은 남자 사망률(30.7명)이 여자(27.1명)보다 높음.
○ 전년 대비 남녀 사망률 모두 2.4명(2.2%), 3.6명(3.0%) 증가함.
순환계통 질환 사망률은 70세 이후부터 급증함.
○ 순환계통 질환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연령별 사망률도 증가하는 추세, 특히 70세 이후부터 급증함.
○ 모든 연령에서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고혈압성 질환 순으로 높음.
- 심장 질환의 경우 40세 미만에서는 기타 심장 질환, 40세 이상에서는 허혈성 심장 질환의 사망률이 높음.
순환계통 질환의 연령별 사망률, 2015년
라. 사망의 외인(사고사 등)에 의한 사망률
사망의 외인은 전체 사망원인의 10.4%를 차지, 전년 대비 2.3% 감소
○ 전체 사망 중 외인에 의한 사망이 차지하는 비중은 10.4%(28,784명)로 전년 11.0%보다 0.5%p 감소함.
○ 사망의 외인에 의한 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은 56.5명으로 전년 대비 2.3% 감소, 6년째 사망률이 감소함.
○ 사망의 외인 사망률은 자살(26.5명), 운수사고(10.9명), 추락사고(4.6명) 순으로 높음.
- 전년 대비 화재사고 사망률은 감소(-17.0%), 익사사고 사망률은 증가(4.0%)함.
○ 사망의 외인은 남자의 사망률(77.0명)이 여자(36.0명)보다 2.1배 높음.
- 남녀 간 차이는 익사사고(3.0배), 추락사고(2.8배), 운수사고(2.7배) 순임.
사망의 외인 중 10세 이상 전 연령에서 자살이 가장 높아
○ 연령별 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이 높은 사망의 외인은 다음과 같음.
- 0세 : 타살(유기 등)(5.0명), 추락사고(0.7명)
- 1-9세: 운수사고(1.7명), 타살(0.7명)
- 10세 이상 전연령: 자살, 운수사고 순
○ 사망의 외인에 의한 사망률은 전년 대비 0세 및 7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감소함.
- 전년 대비 0세는 13.0%, 70대는 1.2% 증가함.
마.알코올 관련 사망
알코올 관련 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은 9.3명, 전년 대비 5.4% 증가
○ 알코올 관련(알코올성 간질환 등) 사망자 수는 총 4,746명(1일 평균 13.0명)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함.
○ 알코올 관련 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은 9.3명으로 전년 대비 5.4% 증가함.
- 남자의 사망률은 전년 대비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함.
- 여자의 사망률은 전년 대비 40대, 60대, 70대에서 증가함.
○ 알코올 관련 사망률은 남자(16.3명)가 여자(2.4명)보다 6.8배 높았으나 남녀 간 격차는 감소추세임.(’05년 11배)
○ 알코올 관련 사망은 30세부터 급증하여 50대를 정점으로 감소함.
시도별 사망자 수, 조사망률, 연령표준화 사망률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서울(306.6명), 경기(328.7명)가 낮아
(* 지역 및 연도별 인구의 연령구조가 사망자 규모 및 조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2005년 전국 기준
연령별 구조로 표준화한 사망률)
○ 시도별 사망자 수는 경기(53,005명), 서울(43,053명), 경남(21,313명) 순임.
-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경기(1,580명), 경남(1,074명) 순으로 많이 증가함.
○ 시도별 조사망률(시도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은 전남(873.3명), 경북(777.2명), 전북(738.3명) 순으로 높음.
○ 연령표준화 사망률(표준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은 347.6명으로 전년 대비 8.1명 감소하였음.
- 시도별로는 울산(383.9명), 충북과 경남(381.8명) 순으로 높고, 서울(306.6명), 경기(328.7명), 제주(331.4명) 순으로 낮았음.
- 전년 대비 대부분 지역의 연령표준화 사망률이 감소했으며, 특히 인천(-19.9명), 세종(-19.4명), 제주(-17.2명) 순으로 가장 많이 감소
시도․사망원인별 연령표준화 사망률
악성신생물 사망률은 울산이, 고의적 자해 사망률은 강원이 가장 높아
○ 표준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 사망률을 주요 사망원인별로 보면
- 호흡기 결핵에 의한 사망률은 전남(3.2명)이 높고, 세종(1.0명)이 낮음.
- 악성신생물에 의한 사망률은 울산(108.8명)이 높고, 서울(96.0명)이 낮음.
- 당뇨병에 의한 사망률은 광주(19.4명)가 높고, 제주(5.4명)가 낮음.
- 고혈압성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부산(8.7명)이 높고, 제주(3.3명)가 낮음.
- 심장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경남(47.9명)이 높고, 제주(21.5명)가 낮음.
- 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울산(36.8명)이 높고, 제주(23.5명)가 낮음.
- 폐렴에 의한 사망률은 충북(24.9명)이 높고, 경기(11.9명)가 낮음.
- 만성 하기도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울산(13.7명)이 높고, 서울(5.0명)이 낮음.
- 간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강원(13.6명)이 높고, 서울(8.1명)이 낮음.
- 운수사고에 의한 사망률은 전남(16.9명)이 높고, 서울(4.5명)이 낮음.
- 자살에 의한 사망률은 강원(28.7명)이 높고, 세종(19.7명)이 낮음.
'인구통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제주도 인구수 통계 - 2016년 11월말 집계기준 (0) | 2016.12.06 |
---|---|
최신 전국 인구 통계 - 2016년 11월 기준 (0) | 2016.12.01 |
2016 고령자통계 자료 요약 (0) | 2016.10.03 |
최신 경상남도 시도별 인구 - 8월말기준 (0) | 2016.09.10 |
최신 경상북도 시도별 인구수 -8월집계 (0) | 2016.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