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의학원 직급체계 및 직원수-18년6월30기준


원자력의학원 직급은 임원,연구원,기술원,의사,

간호사,약사,영양사,의료기사,사무기술원,

간호조무사,사무원,인턴,레지던트,별도정원,

무기계약직으로 구성. 직급별 현원을 정리합니다.


책임연구원 35명,선임연구원 53명,연구원 9명,

책임연구기술원 18명,의사 93명,1급 간호사 2명,

2급 간호사 5명,3급 간호사 17명,4급간호사 140명

5급 간호사 86명,2급 약사 1명,3급 약사 1명,

4급 약사 7명,5급 약사 1명,4급 영양사 1명,

1급 의료기사 1명,2급 의료기사 4명,

3급 의료기사 49명,4급 의료기사 33명,

5급 의료기사 5명,1급 사무기술원 2명,

2급 사무기술원 10명,3급 사무기술원 21명,

4급 사무기술원 44명,5급 사무기술원 10명,

6급 사무기술원 77명,간호조무사 61명,

행정사무원 6명,의료지원원 16명,인턴 30명,

레지던트 61명,별도정원 16명,무기계약직 85명


한국원자력의학원 직원수



원자력의학원 직원수는 1,055명입니다.

남성 직원수 402명, 여성 직원수는 653명입니다.





원자력의학원 정규직 직원수는 969명

원자력의학원 정규직 정원은 1,060명입니다.

18년 2/4분기 현원 기준입니다.


비정규직 직원수는 228명입니다.

원자력의학원 소속외 직원은 용역 127명입니다.


원자력의학원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실적


올해 비정규직 10명이 정규직 전환되었습니다.

17년엔 21명,16년 8명,15년 11명 전환

한국원자력의학원 로고


원자력의학원 2018년 채용인원-18년6월30일기준


원자력의학원 정규직 신규 채용인원은 65명

34세 이하 직원은 54명,

남성 22명에 여성 43명,

비수도권 지역인재 5명

2017년 정규직 채용인원은 109명입니다.



원자력의학원 임원 연봉 및 정규직 평균 연봉

연봉은 2017년 지급받은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원자력의학원 기관장 연봉은 170,149,000원

기본급 137,223,000원 + 상여금 28,750,000원


2016년 기관장 연봉은 171,635,000원

2015년 기관장 연봉은 137,158,000원


원자력의학원 감사 연봉은 121,487,000원


원자력의학원 직원 연봉 정리합니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연봉정리


원자력의학원 평균 연봉은 76,703,000원

남성 직원 평균 연봉 94,885,000원

여성 직원 평균 연봉 63,844,000원


신입 초봉은 39,348,000원

원자력의학원 무기계약직 평균 연봉은 35,931,000원


한국원자력의학원 연봉표


원자력의학원 2018년 평균 연봉은 76,703,000원

18년은 예산 기준이라 성과급 등에 의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원자력의학원 평균 근속연수는 15.45년


원자력의학원 정규직 평균 연봉 내역입니다.


기본급 61,533,000원 ㅣ 고정수당 1,849,000원

실적수당 3,732,000원 ㅣ복리후생비 2,638,000원

성과상여금 6,951,000원


원자력의학원 고정수당 평균 지급 내역


가족수당 495,000원 ㅣ 특수수당 659,000원

보직자직무급 695,000원


원자력의학원 실적수당 평균 지급 내역


법정수당 1,998,000원 ㅣ 연차수당 1,093,000원

일숙직수당 641,000원





원자력의학원 주요사업 규모- 2018년 예산 기준


ㅁ기관고유사업 8,250,000,000원


방사성동위원소 응용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


방사성동위원소 응용연구를 위해 필요한 2대 

분야(PET 이용기술개발센터, 연구용사이클로트론)의 

국가적 인프라 구축/운영을 통해 융합영상연구의 

국제적 선도와 국내 방상성의약품 개발능력 강화


방사선종양의학중개연구 :


방사선의학연구의 다양한 스펙트럼 가운데 

기초원천연구와 임상시험의 가교역할을 하는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분야 연구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운영고도화 :


방사선피폭환자 진료특서에 따른 대비․대응형 

방사선비상진료시스템 운영 및 방사능재난에 

대비한 국제적 수준의 피폭선량 평가역량 확보


방사선의학연구고도화운영지원 :

방사선의학 정책연구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정보보급

방사선의학 종합정보시스템 통합 유지관리 및 

스마트워크 기반 환경 구축, 정보보호 관리체계 수립 

및 방사선안전관리운영


ㅁ일반사업 21,915,000,000원


원자력의학연구기반구축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건설에 따른 차입원리금 상환 

지원으로 본원 부실화방지 및 방사선의학연구개발 

기반구축을 통한 국민건강에 기여


방사선반응제어 실용화 기술개발 :


방사선 반응 제어기술 개발하고 이를 통한 실용화 

연구를 활성화함으로써 방사선치료 효율 증대 및 

방사선의학 산업 발전에 기여


방사선의학활성화 핵심기술 개발 :


사이클로트론 기반 고정밀 방사선치료 핵심 시스템기술 개발


실험동물 기반 방사선의학 연구 :


한국원자력의학원 내 유일한 실험동물 공용 

인프라로, 방사선특화 동물실험을 위한 연구 

친화적 환경 및 연구 지원체계 구축


방사선의학 임상연구 :


방사선의학 기반 정밀의료 구축


방사선사고대응 의료기술 개발 :


고선량 방사선 피폭손상 평가 및 치료핵심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방사선 산고대응 의료 선진화 및 국민안전 확보


장비 시스템 구축 :


첨단 의료․연구 장비 확보를 통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및 방사선 연구 역량 강화


ㅁ연구개발사업 7,949,000,000원


방사선기술개발사업 :


고령화시대 대비 고부가가치 방사성의약품, 

환자 맞춤형 진단시스템 개발

저피폭 고정밀 방사선 치료기술 개발


방사선비상진료사업 :


방사능재난 및 사고 시 신속한 의료대응과 진료수준 

제고를 위해 전국적으로 방사선비상진료기관을 지정

운영하여 국가방사선 비상진료체계를 유지


민간 기타수탁사업 :


웹기반 임상연구데이터관리 서비스 구축, 연구 

심의절차 개선 등 임상시험 수행의 위한 지원 및 인프라 개선


자체연구개발사업 :


이자수익, 기술료 수입 및 기타 원내 재원의 연구 

재투자를 통하여 연구환경 변화에 대응한 연구기획 

및 시스템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사업


ㅁ의료사업 51,906,000,000원


방사선 및 동위원소 이용에 따른 방사선 등의 

의학적 이용 및 연구개발 업무와 암진료, 

원자력시설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대책법에 따른 

국가적인 방사선비상진료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특정연구기관으로서 국가과학기술 및 국민건강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한 사업 수행


ㅁ플랫폼 구축사업 14,417,000,000원


국내 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방사성동위원소 기반 

신약개발 지원체계 구축 사업

방사성동위원소를 위용한 일반신약 및 방사성의약품 

안전성, 유효성 검증시스템 구축

국제 경쟁력 있는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개발을 위한 기반구축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신약개발 전국 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





한국원자력의학원은 1963년 설립된 과기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분류됩니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조직도


한국원자력의학원 정리



+ Recent posts